TIL) 동기, 비동기, 리액티브 스트리밍
멘토님에게 질문을 받은 뒤 다시 동기, 비동기, 리액티브 스트리밍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멘토님에게 질문을 받은 뒤 다시 동기, 비동기, 리액티브 스트리밍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실제로 서버 부하를 걸어보면서 테스트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.
각 스트림 모델의 작동 원리와 제약 조건을 이해함으로써, 시스템의 병목을 정확하게 알수있습니다.
최근 비동기 프로그래밍, 멀티플렉싱, 리액티브 스트림을 학습하면서 동기 I/O 방식은 실무에서 사용하기엔 낡은 방식인가 생각이 들었습니다.
오늘은 리액티브 스트림에 대해서 추가로 학습을 하며 자바 환경에서 리액티브 스트림을 사용한다는 의미를 알아가려고 합니다.